[스크랩] 킹스타케이원의 놀라운 결실력 1.
킹스타 케이원은 국립종자원에 출원으로 등록된 우리나라 최초 아로니아 신품종으로
품종보호 출원번호 10-2015-000436, 품종명칭 출원번호 2015-399 로
육성자의 품종보호권이 보호 되고 있는 품종입니다.
지난번의 글에서는
아로니아 신품종 킹스타케이원과 기존의 아로니아 품종인 네로 바이킹의
개화량 비교를 통해 킹스타케이원 품종의 우수성을 확인 할 수가 있었습니다.
☞ 아로니아 신품종 킹스타케이원과 네로 바이킹 개화량 비교
▶ 지난글 바로가기 : http://blog.daum.net/kgh7221/177
이번 글에서는 킹스타케이원 열매의 착과상태를 소재로 글을 올립니다.
저희 상록슈퍼베리농원은
킹스타케이원 삽목 2년생 포트묘목과 2.6년생 노지밀식묘의 식재 후 3년차의 농장으로
벌써부터 결실목의 수고가 성인의 키를 넘어 2m 이상의 높이로 자라났습니다.
아로니아의 재배시에는 수고를 2m 이상으로 높게 관리해야 많은 량의 열매수확이 가능합니다.
묘목의 식재 후 2년차였던 지난해의 첫 결실에서는
성인의 허리춤과 비슷하게 자랐던 묘목들이 1년만에 폭풍성장을 하여 성인의 키를 넘어 서고
2.7m로 하였던 두둑 폭을 다 메꾸고 사람의 통행에 지장을 받을 정도로 고랑까지 새순들이 자라났습니다.
이러한 성장세라면 예상보다 1년 정도를 앞당겨
내년 말경에는 킹스타케이원 3단 주간형 수형이 완성 될 것으로 보여지며
현재는 1단 반 정도만이 완성되어 목표결실량의 절반 정도가 열린 상태로
수형이 완성된 이후에는 1평당 1주에서 15kg 정도의 열매 수확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 킹스타케이원 삽목 2년생 포트묘목의 식재 후 3년차의 농장 (상록슈퍼베리농원 2016. 07. 08일)
아로니아를 식재하는 땅의 공간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전지전정을 통한 수형관리로 무한히 열려 있는 하늘공간을 활용하여
수확량을 늘리는 농법이 킹스타케이원 3단 주간형 수형의 기본원리입니다.
비옥한 땅에 똑 같은 품종의 과수작물을 식재 하여도
집집마다 열매의 품질이 다르고 수확량의 차이가 나는 이유는 농법의 차이에서 기인하며
아무리 친한 이웃간이라 하여도 농사의 비법을 알려 주지 않는 것이 농사의 현실입니다.
이렇듯 똑 같은 농사를 지면서
남들보다 많은 수확량을 기록하기 위해서는 생각하는 농사를 지어야 하며,
아무 생각 없이 남들이 시키는 대로 행하는 따라하기 농사는 경쟁력에서 늘 뒤쳐지게 됩니다.
올 봄에 킹스타케이원 3년차의 준성목에서
너무도 많은 꽃들이 피어났기에 과연 저 많은 꽃들이 정상적으로 수정이 되어 결실로 이어 질까를
걱정하는 분들도 계셨습니다만 모두 기우에 불과했습니다.
아래 사진을 보시면 아로니아 묘목의 식재후 3년차의 농장이라고는
믿겨지지 않은 정도로 많은 열매가 열렸으며 알갱이 또한 굵어 대풍농사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 킹스타케이원 삽목 2년생 포트묘목의 식재 후 3년차의 농장의 결실 (상록슈퍼베리농원 2016. 07. 16일)
킹스타케이원 3단 주간형 수형중 수형이 완성된 1단에서 많은 결실이 이루어졌습니다.
완성된 1단의 수형을 자세히 보시면
지난해 굵은 주축목대에서 자랐던 결실가지에서 많은 열매가 열려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렇듯 아로니아의 열매는 굵은 주축목대에서 열려야 양분통로가 넉넉하여 품질 좋은 열매 생산이 가능합니다.
아로니아의 전지전정은 나무가 자라는 성질을 이용하여 향후 2~3년 뒤의 수형을 완성하기 위하여
성장기의 변곡점 마다 전지전정을 통해 나무의 성장에 조금씩 간섭하는 작업으로
너무 지나친 간섭은 나무의 성장에 방해를 초래하므로 수형관리는 적절하게 조절하여 시행되어야 합니다.
▶ 킹스타케이원 3단 주간형 수형 1단의 결과지에서 이루어진 결실 1. (상록슈퍼베리농원 2016. 07. 16일)
대부분의 아로니아 농장을 방문해 보면
결실가지의 수가 20 ~ 50 여개 이상으로 너무 많고, 수고 또한 성인의 키높이 이하로 낮으며
열매의 결실이 가지의 끝부위에서만 이루어져 다수확으로 이어지기에는 한계가 있는 농법으로 재배를 하고 있습니다.
제가 보는 관점에서
아로니아 결실목의 분지수가 20~50개 정도로 너무 많은 것은 관리재배가 아닌 무분별한 방치수준이며,
성인의 키높이에도 이르지 못한 준성목의 결실가지를 무차별하게 절단전정하는 작업은
지나친 간섭에 해당되어 결실목의 성장에 방해를 초래하게 됩니다.
▶ 킹스타케이원 3단 주간형 수형 1단의 결과지에서 이루어진 결실 2. (상록슈퍼베리농원 2016. 07. 16일)
킹스타케이원 3단 주간형 수형으로 재배중인 아로니아로
3년차인 올 해에는 1단의 결과지와 2단의 주간에서 마치 우박이 쏟아지듯 많은 열매들이 열려 있으며,
내년에는 2단과 3단의 결과지에서도 많은 열매가 열리게 되므로 목표하고 있는 수형이 완성되리라 예상합니다.
저희 농원의 견학을 위해 방문하시는 분들의 공통적인 반응으로
아로니아 수형을 이런식으로 관리하는 농장은 처음 본다 말하십니다.
대부분의 아로니아 농장은 분지수가 20~50개 정도로 많은 수를 두고서 재배를 하나
저희 농원은 5~7개 를 두고 있으며 한 개의 주축목대에서 왠만한 농장의 한 그루와 맞먹는 많은 열매를 매달고 있습니다.
아로니아의 재배시 분지수가 많아야 수확량이 늘어 난다면야
분지수를 100개 이상을 두는 것이 옳은 일이나 (실재로 분지수를 200여개로 관라하는 농장도 있습니다~^^;;)
실제 많은 분지수로 농사를 지어보면 주축가지가 가늘어 열매의 착과시
결과지가 모두 땅으로 드러 눕게 되어 좋지 않으며 가지의 끝부분에서 적은 양의 열매 수확에 만족해야 합니다.
▶ 킹스타케이원 3단 주간형 수형 1단의 결과지에서 이루어진 결실 3. (상록슈퍼베리농원 2016. 07. 16일)
오늘 저희 농장에 몇분이서 견학을 다녀가셨습니다
한 분은 복분자 농사를 일등으로 짓고계시는 농가분으로
아로니아 농사에 관심이 있어 시장 조사차 들리신 분이 계셨고,
어느 한 분은 아로니아 바이킹 품종의 농사 4년차로
대규모로 농사를 지으면서 주변에서는 일등 농삿꾼으로 소문이 났으나
저희 농장의 킹스타케이원 3년차 농사보다 못한 듯 하여 품종갱신의 자료를 수집하고자 방문을 하셨습니다.
경주에서 오신 어르신께서는 제 블로그를 자주 방문하시는 분으로
주변에 아로니아 농사를 짓는 분들께 3년차의 농장에서 10kg의 열매를 수확한다 말하면
이를 믿어 주는 사랑이 없어 확인차 들리셨다 합니다.
이렇게 저희 농장을 견학 오시는 분들의 사연이 제 각각이나
요즘 같이 정보가 개방된 시대에 어찌 거짓의 글을 올리겠습니까 마는
지금도 저희 농장의 아로니아 결실량을 믿지 못하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제가 여기에서 다시 한번 말씀을 올립니다.
저희 농장은 2014년 3월 27일에
아로니아 신품종 킹스타케이원의 묘목식재를 완료한 3년차의 농장으로,
묘목의 식재 당시부터 블로그를 통해 농사일기를 꾸준하게 올렸던 자료가 있으며,
묘목은 킹스타케이원 삽목 2년생 포트묘와 2.6년생 노지밀식묘를 식재 하였고,
식재간격이 두둑간격 2.7m 에 주간거리 1.1m 로 식재를 하여 0.9평당 1주씩 아로니아 묘목을 식재하였습니다.
아로니아 묘목의 식재 후 3년차인 올 해에는 10kg 정도를
4년차인 내년에는 15kg 이상의 열매 수확이 가능하리라 예상하고 있습니다.
▶ 아로니아 신품종 킹스타케이원 농장 견학 (상록슈퍼베리농원 2016. 07. 18일)
킹스타케이원 3단 주간형 수형중 2단 주간에서도 많은 열매가 열렸습니다.
이렇게 가지가지 마다 꽃눈이 형성되어 착과가 이루어 지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햇빛이 필요하며
너무 많은 분지수는 결과지에 수광률을 감소시켜 화아분화가 진행되지 못하으므로
신우대 처럼 매끈한 가지가 되어 끝부분에서만 열매가 열리게 되므로
다수확을 위해서는 분지수를 줄여야 한다고 반복해서 말씀을 드리는 것입니다.
아래 사진에서 숙과가 빠르게 진행중인 송아리는
벌써부터 검은색으로 변해가고 있어 열매의 수확시기를 가늠해야 하나
아직도 최소 2주 정도는 더 기다려야 하며 두 세 차례로 나누어 익는 순으로 열매를 수확하시면 좋습니다.
아로니아 열매는 검은색으로 변한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열매의 당도가 올라가고 알갱이의 크기가 커지기 시작하는 만큼,
열매가 검다하여 바로 수확을 하게 되면 중량의 손실과 함께 품질이 낮은 열매를 수확하게 됩니다.
▶ 킹스타케이원 삽목 2.6년생 노지밀식묘 식재 후 3년차 농장의 결실 1. (상록슈퍼베리농원 2016. 07. 16일)
열매의 수확량을 늘리고 품질 좋은 열매를 생산하기 위해 관수시설을 하시면 좋습니다.
올 해의 경우 아직까지는 하늘에서 때를 맞추어 적절하게 비를 내려 주었기에
관수시설의 필요성을 느끼지는 못하고 있으나
수정이 늦게 이루어진 짜투리 열매까지 품질 좋은 열매로 수확하기 위해서는 관수시설이 필수적이며
관수시설에 들어간 투자비용은 열매의 초과생상량 만으로도 회수하고 남음이 있습니다.
다만 관수를 하면서 열매를 수확하는 경우
최소 10일~ 14일 전에는 관수를 중단해야 향이 진한 열매를 수확할 수 있으며
열매를 키우기 위해 관수를 진행 하면서 수확을 하게 된다면
물먹은 맹탕의 열매가 되어 품질 낮은 상품을 수확하게 됩니다.
▶ 킹스타케이원 삽목 2.6년생 노지밀식묘 식재 후 3년차 농장의 결실 2. (상록슈퍼베리농원 2016. 07. 15일)
아로니아 농사를 지으며 중간상인들에게 가격을 휘둘리지 않고
안정적인 소득을 올리기 위해서는 냉동/냉장의 보관시설도 필요합니다.
지난해 아로니아 열매의 유통과정을 예를 들어 말씀 드리면
아로니아의 홍수출하기에 저온저장시설이 없는 경우 현지의 밭떼기 물량으로 4천원 내외의 말도 안되는 가격에
대규모 저온저장 시설을 갖추고 있는 도매꾼들에게 울며 겨자먹기로 소중한 열매를 넘길수 밖에 없었으나
현지의 밭떼기 물량이 떨어지고 나면 바로 6~7천원대로 도매가격이 형성되었고 소매가격은 1만원 안밖이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도 매년 반복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대비를 위해 저온저장 시설을 갖추고 있어야 느긋한 마음으로 열매를 판매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온저장 시설로 5평의 저온창고를 짓는다 가정하면
칸을 분리하여 3평 냉동에 2평의 냉장시설을 하여
열매 수확 후 2개월 정도는 5평 모두를 냉장으로 보관하며 판매를 하다
그 이후에 남는 열매는 냉동으로 보관하여 1년 내내 여유롭게 판매를 하거나
아예 열매 수확 초기부터 냉장보관 판매분량을 제외한 일정량을
1kg 단위의 플라스틱 팩 또는 지퍼비닐 팩에 담아 냉동으로 보관판매를 하셔도 좋습니다.
아로니아 열매의 가격형성이 수요와 공급의 원리에 의해 시장가격이 형성되는 만큼
일시적인 수급불균형으로 인해 왜곡된 가격이 형성되기는 하나
저온저장 시설을 갖추고 SNS, 페이스 북, 블로그 및 홈페이지 운영 등 인터넷 등의 매체를 활용하거나
지인들을 통해 꾸준하게 홍보하여 판로를 넓혀 간다면 안정적인 소득원으로 자리하게 될 것입니다.
▶ 킹스타케이원 삽목 2.6년생 노지밀식묘 식재 후 3년차 농장의 결실 3. (상록슈퍼베리농원 2016. 07. 15일)
얘기의 방향이 딴대루 갓네요~^^;;
지금 위 아래로 있는 사진들은
킹스타케이원 3단 주간형 수형중 2단의 주간에서 열매가 열려 있는 모습으로
기존의 아로니아 품종인 네로 바이킹 보다 열매의 송아리가 크고, 알갱이가 굵으며,
꽃눈 간격이 좁아 열매가 다닥다닥 열려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로니아 신품종 킹스타케이원의 이러한 특성이
기존의 아로니아 품종들보다 2배 이상의 열매 수확이 가능한 이유입니다.
아직도 인터넷의 일부 폐쇄된 공간에서는
킹스타케이원이라는 품종이 "있네, 없네, 사기네" 등 근거 없이 폄하 하는 글들이 많이 있으나
킹스타케이원 품종은 국립종자원에 출원으로 등록된 우리나라 최초 아로니아 신품종이며
품종보호 출원번호 10-2015-000436, 품종명칭 출원번호 2015-399 로
육성자의 품종보호권이 보호 되고 있는 품종으로 육성자의 허락 없이
묘목을 증식 판매행위를 해서는 아니되며 적발시에는 재산상의 큰 손실을 입을 수 있음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킹스타케이원 품종의 우수성이 알려지자
시장에서는 벌써부터 가짜 품종이 나돌고 있으니 주의하셔야 하며
킹스타케이원의 판매원칙이 인터넷을 통한 소비자와의 직거래 판매방식이므로
시중의 묘목상에서는 킹스타케이원의 묘목을 단 한주도 구매 하실 수가 없습니다.
아로니아 농사는 부가가치가 높은 투자농업으로
묘목의 식재는 평생농사를 위해 행하는 일이니 만큼
품종이 확실하고 품질이 좋은 묘목을 구매하여 단 1kg의 열매를 추가생산 하게 된다면
묘목의 투자금은 자연스럽게 회수 되고도 남는 만큼
믿음 있는 전문농원에서 묘목을 구매하여 식재 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아로니아 묘목의 생산기술이 조잡하여
품질이 낮은 묘목을 구매하여 식재하게 되면 수확량 감소로 인해 큰 손실을 보게 되며,
특히 실생묘를 식재 하는 경우 수확시기가 2~3년 뒤로 밀리게 되어
기회비용의 상실로 인한 무형의 재산손실은 이루 말할 수가 없습니다.
제가 만약 기존의 아로니아 품종인 바이킹 실생묘를 계속해서 재배하고 있었다면
3년차인 올 해에 1~2kg 정도의 열매 수확에 만족해야 했을 것이나,
킹스타케이원의 삽목묘로 갱신을 하였기에 10kg 정도의 열매 수확량을 기대하고 있으며
내년에는 15kg 이상의 열매수확량을 예상하고 있으니 순간의 선택이 얼마나 중요한 지를 실감하게 됩니다.
킹스타케이원 삽목 포트묘목의 경우에는
포트 안에 많은 실뿌리가 들어 있어 1년 년중 아무때나 식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킹스타케이원 3단 주간형 수형 2단의 주간에서 이루어진 결실 1. (상록슈퍼베리농원 2016. 07. 16일)
아로니아 신품종 킹스타케이원은
기존의 아로니아 품종에 비해 열매의 맛 또한 좋습니다.
이는 아로니아 농사를 직접 지으며
맛을 비교해 보는 저 혼자만의 판단이 아니라
저희 농원을 방문견학하시는 분들 중
기존의 아로니아 품종인 네로나 바이킹을 재배하는
모든 분들이 공통적으로 하시는 말씀이며
오늘 방문을 하셨던 모든 분들도 열매의 크기와 맛 수확량 등
모든면에서 킹스타케이원이 비교우위에 있음을 인정하고 돌아가십니다.
킹스타케이원과 네로 바이킹의 열매 맛을 글로 표현하자면,
모든 품종이 블랙 초크베리인 만큼 공통적으로 떫은 맛이 있으나,
기존의 아로니아 품종인 네로나 바이킹은 시고 떫은 맛이 강하여
한 웅큼 입안 넣고 씹다보면 인상이 흐려지고 과피가 퍽퍽하여
목 안으로 넘어가지가 않아 도로 뱉어 내야 하는 반면,
킹스타케이원은 당도가 높아 씹는 순간 부터 단물이 찔끔 나오고
떫은 맛이 덜하여 부드러운 맛에 과피가 모두 목으로 넘어 갑니다.
아로니아의 주요 성분인 안토시아니딘이 과피에 대부분이 들어 있는 만큼
목으로 넘어 가고 안 넘어 가고의 차이점은 크다 말 할 수 있습니다.
▶ 킹스타케이원 3단 주간형 수형 2단의 주간에서 이루어진 결실 2. (상록슈퍼베리농원 2016. 07. 16일)
킹스타케이원 3단 주간형 수형중 1단과 2단의 주간에서 수 많은 열매들이 열렸습니다.
사진을 자세히 보시면 주축가지의 사이 사이에서 수 많은 열매들이 열려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열매의 착과 위치가 이렇게 땅 바닥에서 부터 가지 끝까지,
나무의 밖에서 부터 안쪽까지 열매가 입체적으로 열려야 다수확으로 이어지며,
학술적으로 보아도 가지의 끝에서만 열리는 표면적량과 입체적으로 열리는 체적량과는 많은 격차를 보이게 됩니다.
아로니아 농사 3년차에 이러한 결과를 이루기 까지는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으며 특히 수형관리기법의 터득을 위해 쌩나무도 많이 잡았습니다~^^;;
똑 같은 농장에서 킹스타케이원 묘목을 재배하였어도
수형관리 기법에 실패한 나무들은 수고가 아직 성인의 가슴 높이에도 이르지 못하고 있으며,
해거리 현상으로 열매가 썰렁한 나무들도 있고, 심지어 고사한 나무들도 몇그루가 있습니다.
모든 농사가 원하고 계획하는 대로 이루어 진다면야 무슨 걱정이 있겠습니까 마는
농삿일이라는게 생명을 다루는 작업이라서 많은 변수가 존재하기에
중요한 변곡점마다 코칭을 해주는 경험 많은 멘토를 두고 농사를 짓는다면 실패확률을 줄일 수 있으며,
그 동안에 아로니아 농사를 지으며 제가 올린 글들을 모두 검색해 보신다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리란 생각입니다.
▶ 킹스타케이원 3단 주간형 수형 2단의 주간에서 이루어진 결실 3. (상록슈퍼베리농원 2016. 07. 16일)
저희 상록슈퍼베리농원은 아로니아 신품종 킹스타케이원을 비롯해
블랙커런트 헤이단 품종, 하니베리(하스카프), 구즈베리, 준베리 등의
슈퍼베리 재배 전문농장으로 최우수 품종의 묘목과 생과를 생산하고 있으며,
묘목의 재배시 농사시기 마다 여러가지 매체를 통해
다수확의 신영농 기술을 농가에 전수하고 있으니 많은 이용 부탁드립니다.
슈퍼베리의 농사재배 또는 묘목구매에 관하여 추가정보가 필요하신 분은
상담전화 010 3689 5416 또는 네이버 블로그와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상록슈퍼베리농원 농사일기 홈페이지 또는 네이버 블로그 방문하기